신규 아츠 소개 |
사이클론: 용오름 | [사이클론]의 공격 범위와 공격 주기, 광역 공격 비율이 절반으로 감소합니다.  <1:1 전투 중 사이클론을 사용하는 모습> 기본 사이클론은 광역 능력이 탁월하여 다수의 적이 있을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, 반대로 1:1 상황에서는 사용하기 애매하기 때문에 [사이클론: 용오름]은 이런 애매함을 보완할 수 있는 아츠입니다. 또한, 아츠와는 별개로 기본 사이클론을 비롯하여 일부 스킬은 채널링 방식으로 변경되고 캐스팅/채널링 스킬에 대한 스킬 계수도 같이 조정될 계획입니다. |
드래곤 투스: 긴 송곳니 | [드래곤 투스] 스킬에 캐스팅 시간이 증가되지만 대미지와 타격 길이가 좀 더 증가합니다.  <길게 뻗어가는 드래곤 투스로 멀리 있는 대상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음> 챌린지나 업힐 디펜스와 같이 지형을 활용할 수 있는 곳에서 몬스터가 재등장하는 타이밍을 노려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인 전투를 할 수 있습니다. |
자우스트: 진영 파괴 | [자우스트] 스킬이 캐스팅 스킬로 변경되고 캐스팅 시간을 길게 모을수록 앞으로 돌진하는 거리와 적에게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. 
 <캐스팅 시간 차이에 따른 자우스트 돌진 비교> 캐스팅 시간을 잘 조절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움직일 수 있습니다. |
일섬: 뇌전 | [일섬] 스킬이 캐스팅 스킬로 변경되고 [일섬]으로 지나간 자리에 전기가 잔류하여 위에 있는 적에게 주기적으로 대미지를 줍니다.  <일섬으로 전기 지역을 잔류시켜 잔여 대미지를 주는 모습> |
파운싱: 무아지경 | [파운싱] 스킬이 제자리에서 검기를 발사하는 형태로 변경됩니다. 검기는 전방 범위에 있는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.  <파운싱을 사용하여 날라가는 검기에 적이 피해를 받는 모습> |
해골 병사 만들기 : 엘리트 | [해골 병사 만들기] 스킬 사용 시 일반 해골 병사 대신 엘리트 해골 병사를 소환합니다.  <엘리트 해골 병사의 휩쓸기 공격과 내려 찍기 공격> 엘리트 해골 병사는 [휩쓸기]와 [내려 찍기] 스킬을 사용하면서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. |
헬 브레쓰: 네이팜 | [헬 브레쓰]가 단일 대상을 공격하고 최대 차징 시간이 감소하지만 타격 주기가 빨라지고 타격당 대미지가 증가합니다.  <헬 브레쓰의 공격이 타겟잡은 대상에게 날라가는 모습> 1:1 상황에서 대상을 집중적으로 대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. |
섀도우 풀: 어둠 갑옷 | [섀도우 풀] 스킬의 무적 기능이 사라지지만, 지속시간 동안 적에게 받는 피해가 감소하고 섀도우맨서 스킬을 사용 가능해집니다.  <섀도우 풀 상태에서 섀도우 맨서 스킬을 사용하는 모습> 기존 섀도우 풀은 주로 위급한 순간에 그 위치를 빠져 나오는 용도였다면, 아츠가 적용된 섀도우 풀은 적을 좀 더 안정적으로 공격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. |
블링크: 패러독스 | [블링크]로 생성된 잔상이 일정 시간 동안 시전자의 일부 세이지 공격 스킬을 똑같이 사용합니다.  <시전자의 스킬을 똑같이 따라하는 블링크 잔상> 잔상을 이용하여 상대에게 순간적인 대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. |
샌드 월: 유사 | [샌드 월]이 유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적을 끌어당기고, 샌드 월이 사라질 때 끌어당긴 적들을 튕겨냅니다.  <주변 적들이 유사에 빨려 들어간 뒤 튕겨 나오는 모습> 난전 상황에서 적의 발을 묶음과 동시에 진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|
데스모두스: 대형 | [데스모두스] 스킬의 타격 효과가 사라지지만 스킬 범위가 증가하고 소환수 대미지 증가 효과가 증가합니다.  <소환수들이 전투중일 때 그 방향으로 대형 박쥐를 날리는것이 중요> 소환수의 대미지를 더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, 데스모두스의 자체 대미지는 사라지기 때문에 소환수 공격에 더 의존해야 하는 아츠입니다. |
금잠고: 금와 | [금잠고] 스킬을 사용하게 되면 금색 두꺼비 조각상을 소환하여 주변 적에게 독 피해를 줍니다.  <금와가 소환되어 주변 적들에게 독 피해를 주는 모습> |
프리덴슬리트: 빙글~짝 | [프리덴슬리트]를 사용하면서 이동이 가능해지고 적군에게만 효과가 적용됩니다. 디버프를 받은 적은 일정 주기마다 확률적으로 [빙글~짝] 춤을 추게됩니다.  <이동하면서 프리덴슬리트를 사용> 프리덴슬리트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들에게 쉽게 디버프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.  <프리덴슬리트 디버프에 걸린 대상은 주기적인 확률로 춤을 추게됨> 반대로 원하는 타이밍에 CC기가 발동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전투 시작시에 사용하는것이 유리합니다. |
캐니스터 샷: 중력 조정 | [캐니스터 샷]의 지속시간이 고정되고 적을 끌어당기지 않지만, 지속시간 동안 범위의 적들에게 주기적으로 피해를 줍니다.  <캐니스터 샷 범위에 있는 적들은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음> 캐논이 최대 공격력이 높기 때문에, 기존 캐니스터 샷의 경우 대미지 증가 효과를 받았을 때 최대 대미지 상한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대미지를 분산하여 좀 더 효율적인 전투를 할 수 있습니다. |
신기전: 연쇄 폭발 | [신기전]이 적에게 꽂히면 바로 터져서 폭발이 일어나고, 폭발에 피해를 받은 다른 적에게서 연쇄 폭발이 발생합니다. (한번 폭발이 발생하면 발동 대기시간 존재함)  <넓게 포진되어 있는 적에게 연쇄 폭발이 발생> 챌린지를 플레이 시 연쇄 폭발을 잘 활용하면 생성되는 몬스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 |
철사장: 여래신장 | [철사장]이 위치 지정 스킬로 변경되고, 해당 위치에 손바닥이 떨어져 범위의 적들에게 피해를 줍니다.  <여래신장으로 적에게 피해를 주는 모습> |
엔터티: 수색 | [엔터티]가 시전자를 따라다니는 오라형 스킬로 변경되고, 실체가 드러난 적은 일정 시간동안 받는 피해가 증가합니다.  <엔터티로 적을 발견한 모습> 클로킹한 적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고, 드러난 적은 엔터티의 피해를 받지 않지만, 잠시 동안 받는 피해가 증가하기 때문에 적을 찾았을 때 좀 더 공격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. |
아스페르길룸: 장엄구마 | [아스페르길룸] 스킬 사용 시 적이 있는 위치에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장엄구마 마법진을 소환하여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.  <장엄구마 마법진이 소환된 모습> |
자이바스: 카타툼보 | [자이바스] 스킬의 마법진 범위가 증가하고 동시에 좀 더 많은 대상을 타격합니다.  <범위가 커지고 한번에 좀 더 많은 대상이 맞음> 기존 자이바스보다 넓은 범위와 한번에 더 많은 대상을 타격합니다. |
리마콘: 추가 도탄 | [리마콘]이 짧게 지속되는 버프 스킬로 변경되고, 지속시간 동안 일반 공격(C키) 시 여러 대상에게 도탄 대미지를 줍니다.
 <리마콘 기본 공격으로 좀 더 많은 대상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음> |
에이밍 샷: PM샷 | [피스메이커: 무기력] 디버프에 걸려 있는 적을 모두 사격합니다.  <에이밍 샷으로 적들이 한번에 피해를 받는 모습> [피스메이커: 산탄] 아츠와 연계하여 기존 에이밍 샷 보다 더 많은 적을 한번에 공격할 수 있습니다. |
인법 뇌둔술: 비뢰 | [인법 뇌둔술] 사용 시 타겟된 적에게 순간적으로 이동하여 뇌둔술을 시전합니다.  <뇌둔술로 적에게 순간 이동하여 대미지를 주는 모습> 적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기로 사용하기 용이합니다. |
크기 확대: 아군 크기 축소: 아군 | [크기 확대], [크기 축소] 스킬이 적이 아닌 자신과 파티원에게 적용되는 스킬로 변경됩니다. 효과를 받은 대상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. - [크기 확대] : 캐릭터의 크기가 커짐. 물리 방어력 증가 - [크기 축소] : 캐릭터의 크기가 작아짐. 마법 방어력 증가


  <크기 확대, 크기 축소된 아군의 모습> |